비탈릭의 How do layer 2s really differ from execution sharding? 글을 한글로 번역한 글입니다.
1/ 롤업에서는 버그가 발생하면 개별 롤업 내에서 코인을 잃을 수 있으나, 전체 네트워크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샤드 체인에서는 버그로 인해 합의 실패가 발생할 수 있어 네트워크 전체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두 접근법의 주요 차이는 버그 발생 시의 결과에 있다.
2/ 2019년 이더리움은 다양한 실행 환경을 고려했으나, 결국 EVM만 유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재는 다양한 L2 솔루션들이 실행 환경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각각 특화된 접근 방식을 제공한다.
3/ 이더리움 L1은 강력한 보안 보장을 위해 높은 비용을 감수한다. 소셜 미디어나 게임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L1 수준의 보안이 필요 없으므로 L2 솔루션을 통해 더 낮은 비용으로 운영될 수 있다. L2 솔루션은 다양한 데이터 가용성 접근 방식을 지원하여 비용 효율성을 높인다.
4/ 미래에는 모든 롤업이 ZK 롤업으로 전환되어 고효율 증명 시스템을 통해 빠르고 확정적인 상태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더리움 L1은 블록 생성 시간을 12초로 유지하지만, 많은 L2 솔루션은 몇백 밀리초 단위의 더 빠른 블록 시간을 제공한다.
5/ 이더리움 L1에서 모든 기능을 구현하면 복잡성이 증가하고 합의 과부하 위험이 있다. 대신, L2를 통해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면 이러한 위험을 피할 수 있다. L2를 통해 이더리움은 중앙화 위험과 강한 거버넌스 요구를 줄일 수 있다. L2 솔루션은 독립적으로 운영되면서도 이더리움 메인체인의 보안과 네트워크 효과를 공유한다. 이는 독립적인 체인의 창의성과 이더리움 메인체인의 보안을 균형 있게 제공한다. 따라서 L2는 독립성과 통합성을 모두 갖춘 중간 지점에 있다.
6/ 레이어 2는 다양한 인센티브와 통제 구조를 통해 혁신과 효율성을 촉진할 수 있다. 이더리움이 레이어 2(L2) 중심 생태계가 되면, 개발자들은 독립적으로 자신만의 하위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고, 동시에 더 큰 이더리움 생태계의 일부가 될 수 있다. L2는 새로운 실행 환경과 보안 절충을 실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개발자와 커뮤니티가 이를 지원할 인센티브를 만든다.
7/ 하지만 이더리움의 레이어 2(L2) 중심 생태계는 조정(coordination) 문제가 큰 도전 과제다. 이더리움이 여러 L2로 분기되면서도 통일된 느낌과 네트워크 효과를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현재 토큰을 L2 간에 이동시키는 것이 중앙화된 브리지 플랫폼을 필요로 하며, 일반 사용자에게는 복잡하다. 또한, 크로스체인 스마트 계약 지갑 지원이 부족하여, 한 L2에서 키를 변경하면 다른 모든 L2에서도 키를 변경해야 한다. 분산된 검증 인프라도 부족하여, 대부분의 활동이 중앙화된 RPC가 필요한 L2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RC-7683 표준과 같은 크로스체인 토큰 교환 방법이 개발 중이다. 크로스체인 계정을 위한 재생 가능한 메시지와 키스토어 롤업도 사용되고 있다. L2용 라이트 클라이언트와 차세대 지갑이 등장하여 사용자 경험을 개선하고 있다.
8/ 하지만 개별 L2들은 조정 인프라를 구축할 경제적 동기가 부족하다. 작은 L2는 기여에 대한 혜택이 적고, 큰 L2는 자신의 네트워크 효과를 강화하는 데 더 이익을 얻는다. 각 L2가 자체 최적화에만 집중하면 전체 생태계가 조화를 이루지 못할 수 있다. 완벽한 해결책은 없지만, 생태계는 크로스-L2 인프라가 이더리움 인프라의 중요한 부분임을 인식하고, 이를 지원해야 한다. 이를 위해 Protocol Guild와 같은 조직이 필요할 수 있다. 크로스-L2 인프라가 제대로 구축되지 않으면, 전체 생태계가 분열될 위험이 있다.
9/ 레이어 2(L2)와 샤딩은 블록체인 확장을 위한 상반된 전략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같은 기술적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주요 차이점은 각 요소를 누가 구축하고 관리하며, 자율성을 얼마나 가지느냐에 있다. L2 중심 생태계는 자신만의 규칙을 가진 샤드를 생성할 수 있어 창의성과 혁신이 가능하다. 그러나 조정 문제와 같은 중요한 도전 과제가 있다. L2 중심 생태계가 성공하려면 이러한 도전 과제를 이해하고 해결해야 한다. 이를 통해 L1 중심 생태계의 장점을 최대한 누리면서 두 세계의 장점을 모두 가져야 한다.